본문 바로가기

PS

225. Implement Stack using Queues (leetcode)

https://leetcode.com/problems/implement-stack-using-queues/

1. 문제에 대한 이해

  • 우리가 풀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 주어진 자료는 무엇인가?
  • 조건은 무엇인가?
  • 우리가 문제를 풀기 위해 주어진 자료가 충분한가?
  • 숨겨진 조건이나 자료가 있는가? 그렇다면 그 것을 다른 방법으로 해석해보라.      

- 우리가 풀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 두 개의 큐를 사용해서 스택 구현하기

 

- 주어진 자료는 무엇인가?

-> push() 메소드, pop() 메소드, peek() 메소드, empty() 메소드

 

- 조건은 무엇인가?

-> 

2. 계획

  • 전에 비슷한 문제를 알고 있는가?
  • 이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지식은 무엇인가?
  • 비슷한 문제를 풀어본 적이 있다면 그 것을 활용할 수 있는가?
  • 만약 문제를 풀 수 없다면 문제를 더 단순하게 하기 위해서 주어진 조건을 버려보아라
  • 주어진 자료로부터 유용한 것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
  • 자료는 모두 사용했는가?
  • 조건을 모두 사용했는가?
  • 문제에 포함된 핵심적인 개념은 모두 고려했는가?

- 전에 비슷한 문제를 알고 있는가?

-> 큐 2개를 사용한다

 

- 이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지식은 무엇인가?

-> 큐를 2(queue1, queue2)개 선언하고, 문제를 해결한다. 

 

 

3. 실행

  • 풀이 계획을 실행하고, 각 단계가 올바른지 점검하라.
import java.util.*;

class MyStack {

    
    Queue<Integer> queue1;
    Queue<Integer> queue2;
    
    public MyStack() {
        queue1 = new LinkedList<>();
        queue2 = new LinkedList<>();
    }
    
    public void push(int x) {
        queue1.add(x);
    }
    
    public int pop() {
        
        while(queue1.size() != 1){
            queue2.add(queue1.poll());
        }
        
        int result = queue1.poll();
        
        while(!queue2.isEmpty()){
            queue1.add(queue2.poll());
        }
        
        return result;
    }
    
    public int top() {
        
        while(queue1.size() != 1){
            queue2.add(queue1.poll());
        }
        
        int result = queue1.peek();
        
        queue2.add(queue1.poll());
        
        while(!queue2.isEmpty()){
            queue1.add(queue2.poll());
        }
        
        return result; 
    }
    
    public boolean empty() {
        return queue1.isEmpty();
    }
}

4. 반성

  •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가?
  • 결과나 방법을 어떤 다른 문제에 활용할 수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 push()의 시간 복잡도는 무엇인가?

-> O(1)이다.

- pop()의 시간 복잡도는 무엇인가?

-> O(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