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러블슈팅

코드숨 4주차 과제

1. 문제에 대한 이해

  • 우리가 풀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 주어진 자료는 무엇인가?
  • 조건은 무엇인가?
  • 우리가 문제를 풀기 위해 주어진 자료가 충분한가?
  • 숨겨진 조건이나 자료가 있는가? 그렇다면 그 것을 다른 방법으로 해석해보라.

- TDD를 작성한다

-> 즉,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한다.

-> 어떤 테스트 코드의 작성이 필요한가?

-> 무엇에 대한 테스트 코드의 작성이 필요한가?

->

  • 고양이 장난감 목록 얻기 - GET /products
  • 고양이 장난감 상세 조회하기 - GET /products/{id}

-> 이 두 개에 대한 테스트 코드의 작성을 해보자. 

-> 우선, 고양이 장난감 목록 얻기에 대한 테스트 코드의 작성을 해보자. 

-> 어떤 클래스가 필요한가?

-> ProductService, ProductController, ProductRepository, Product가 필요하다. 

 

- 테스트 코드 작성을 어떻게 하는가?

-> 즉, 고양이 장난감 목록 얻기에 대한 테스트 코드 작성을 어떻게 하는가?

-> ProductService, ProductController, ProductRepository를 만든다. 

 

- 그 다음은 setUp()을 만들어준다. 

-> InMemoryProductRepository를 만들어준다.

-> 왜 InMemoryProductRepository를 만들어주는가?

-> ProductRepository는 인터페이스이므로, 객체를 선언하려면, 구체 클래스가 필요하다. 

 

- 무엇부터 선언해야 하는가?

-> 의존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 의존 관계의 방향이 어떠한가?

-> ProductService는 ProductRepository에 의존한다

-> ProductController는 ProductService에 의존한다. 

-> 이 의존 관계를 고려하면, ProductRepository -> ProductService -> ProductController 순으로 선언해야 한다. 

 

- InMemoryProductRepository는 ProductRepository를 implements를 해야 한다.

 

- 그 다음에 어떤 메소드를 구현해야 하는가?

-> 이제 ProductController 테스트 이므로, ProductController의 메소드를 구현해야 한다.

-> 어떤 메소드를 구현해야 하는가?

-> GET /products 

 

- ProductController 테스트를 해야 하는가? ProductControllerWeb 테스트를 해야 하는가?

-> 둘 다 해보자. 

-> 그런데 우선은 ProductControllerWeb 테스트를 먼저 해보자. 

->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가?

-> MockMvc를 만든다. 

-> 왜 MockMvc를 만드는가?

-> 

 

- list() 메소드라고 명명한다.

-> andExpect() 다음에 무엇을 써야 하는가?

-> 다 만들었다.

 

- 이제 controller에 해당 메소드를 만들어야 한다.

-> 해당 메소드를 어떻게 만드는가?

-> 

 

- TaskService를 @MockBean으로 만들어야 한다.

-> 

 

- list() 메소드를 어떻게 만드는가?

-> 

 

- Controller 클래스에는 어떤 어노테이션들이 있어야 하는가?

-> @CrossOrigin이 왜 필요한가?

 

- getProducts() 메소드는 어떻게 구현하는가?

-> 

 

- 왜 productRepository.findAll()을 하는가?

-> 즉, 비즈니스 로직의 요청받은 것을 DB와 연결하는 repository 클래스로 넘기는 것이다. 

-> InMemoryProductRepository 클래스에는 무엇이 존재하는가?

-> 그 안에 자체 List<Product> products가 존재한다. 

-> 이것은 일종의 데이터 저장 공간이며, 서버가 꺼지면 사라진다. 

 

- 테스트가 통과되는가?

-> 

 

- get이 필요하다

-> 왜 get이 필요한가?

-> 

 

- return이 아니다. 

-> 

 

- containsString이 있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 

 

- 왜 given()이 필요한가?

-> 

 

- 왜 ProductNotFoundException이 필요한가?

-> 

 

- 왜 getProduct가 필요한가?

-> 

 

- 왜 findById가 필요한가?

-> 

 

- 문제가 무엇인가?

-> 

 

- 왜 RuntimeException을 extends해야 하는가?

-> RuntimeException이란 무엇인가?

 

- 왜 GetMapping이 필요한가?

-> 

 

- NotFoundErrorAdvice가 왜 필요한가?

-> 

 

- 한 줄의 코드를 작성하더라도 명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 

 

- ErrorResponse란 무엇인가?

-> 

 

- ResponseEntity란 무엇인가?

-> 

 

2. 계획

  • 전에 비슷한 문제를 알고 있는가?
  • 이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지식은 무엇인가?
  • 비슷한 문제를 풀어본 적이 있다면 그 것을 활용할 수 있는가?
  • 만약 문제를 풀 수 없다면 문제를 더 단순하게 하기 위해서 주어진 조건을 버려보아라
  • 주어진 자료로부터 유용한 것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
  • 자료는 모두 사용했는가?
  • 조건을 모두 사용했는가?
  • 문제에 포함된 핵심적인 개념은 모두 고려했는가?

3. 실행

  • 풀이 계획을 실행하고, 각 단계가 올바른지 점검하라.

4. 반성

  •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가?
  • 결과나 방법을 어떤 다른 문제에 활용할 수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트러블슈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entityManagerFactory'  (0) 2022.06.13
코드숨 6주차 과제  (0) 2022.06.10
Spring App 실행 오류 2  (0) 2022.06.08
Spring App 실행 오류  (0) 2022.06.08
cannot resolve symbol springframework  (0) 2022.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