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프 테스트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Http 요청 데이터 Q1. Http 요청 메시지를 통해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3가지 방법은 무엇인가? - Q1-1. GET 방식의 쿼리 파라미터 방식이란 무엇인가? - Q1-2. POST 방식으로 HTML Form을 전송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 Q1-2-1 POST 방식으로 HTML Form을 전송할 때, Content-Type은 무엇인가? - Q1-2-2 메시지 바디에 무슨 형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가? - Q1-3. Http Message body에 데이터를 직접 담아서 요청하는 방식이란 무엇인가? - Q1-3-1. Http Message body에 데이터를 담을 때 주로 어떤 형식을 사용하는가? - Q1-3-2 Http Message body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어떤 메소드를 사용하는가? - .. HTTP 상태 코드 Q1. HTTP 상태 코드란 무엇인가? - Q2. HTTP 상태 코드의 100번대는 무엇인가? - Q3. HTTP 상태 코드의 200번대는 무엇인가? - Q4. HTTP 상태 코드의 300번대는 무엇인가? - Q5. HTTP 상태 코드의 400번대는 무엇인가? - Q6. HTTP 상태 코드의 500번대는 무엇인가? - Q7. 만약 모르는 상태 코드가 나타난다면 클라이언트는 어떻게 처리하는가? - Q8. HTTP 상태 코드 중 200번의 의미는 무엇인가? - Q9. HTTP 상태 코드 중 201번의 의미는 무엇인가? - Q10. HTTP 상태 코드 중 202번의 의미는 무엇인가? - Q11. HTTP 상태 코드 중 204번의 의미는 무엇인가? 204번을 활용할 수 있는 예시는 무엇인가? - Q12. 리다이.. HttpServletRequest Q1. 서블릿은 개발자가 무엇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자 대신에 무엇을 파싱하는가? - Q2. Q1의 결과를 어디에 담아서 제공해주는가? - Q3. HTTP 요청 메시지의 Start line에는 어떤 정보가 있는가? - Q4. HTTP 요청 메시지의 body에는 2가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은 무엇인가? - Q5. HTTP 요청이 시작부터 끝까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기능에는 무엇이 있는가? - Q6. 세션 관리 기능을 위한 코드는 무엇인가? - Q7.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letResponse는 무엇과 무엇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객체인가? - 참고 Q1~Q7 스프링 MVC 1편 6/26 서블릿 프로젝트(2) Q1. 스프링 부트는 무엇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무엇의 설치 없이 서블릿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가? - Q2. 스프링 부트에서 서블릿을 쓰려면 어떤 애노테이션을 지원하는가? 그 애노테이션의 역할은 무엇인가? - Q3. 먼저 서블릿은 무엇을 상속 받아야 하는가? - Q3-1 HttpServlet을 상속 받고 나서 어떤 애노테이션을 넣어야 하는가? - Q3-2. @WebServlet 애노테이션을 선언하고 나서 무엇과 무엇을 지정해야 하는가? - Q3-3 urlPatterns로 오면 무슨 일이 발생하는가? - Q4. HttpServlet의 메소드 중에서 어떤 메소드를 선언해야 하는가? - Q5. url에 요청이 오면 WAS가 무엇과 무엇을 만들어서 서블릿에 던져주는가? - Q6. Tomcat 등의 WAS 서버.. 서블릿 프로젝트(1) Q1. 프로젝트 생성시 Spring Web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 Q2. 프로젝트 생성 시 packaging은 jar와 war중 무엇으로 해야 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 Q3. lombok 라이브러리를 쓰기 위해서는 무엇부터 해야 하는가? - Q3-1. lombok 라이브러리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나서 어떤 작업을 해야 하는가? - Q4. API 호출하는 것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tool은 무엇인가? - 참고 Q1~Q4 스프링 MVC 1편 6/26 JVM 힙 구조(GC) Q1. HotSpot JVM은 크게 무엇과 무엇으로 나뉘는가? - Young Generation과 Old Generation으로 나뉩니다. Q2. Young Generation은 어떤 영역과 어떤 영역으로 구성되는가? Young Generation에서 객체는 어떻게 이동하는가? - Eden 영역과 Survivor 영역으로 나뉩니다. 객체는 Eden 영역에서 Survivor 영역으로 이동합니다. Q2-1 Survivor 영역은 몇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는가? Survivor 영역의 특징은 무엇인가? - Survivor 영역은 Survivor 1, Survivor 2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Survivor 영역은 두 영역을 동시에 사용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Q3. Young Generation에서 일어.. 데이터베이스 (1) Q1.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인가? - 데이터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Q2.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는 '어떻게' 보존되어야 하는가? - 영구히 보존되어야 한다. Q2-1.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어디'에 저장되어야 하는가? -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야 한다. Q3.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영어 표현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의 약자는 무엇인가? - DataBaseManagementSystem, 즉, DBMS이다. Q4. DBMS와 같은 전용 소프트웨어가 필요한 3가지 이유는 무엇인가? - Q5. DBMS와의 대화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 Q6. SQL 명령의 3가지 종류는 무엇인가? - Q6-1 DML의 역할은 무엇인가? - Q6-2 DDL의 역할은 무엇인가ㅏ? - Q6-3 DCL의 역할은 무엇인가?.. enum Q1. enum 클래스란 무엇인가? - 열거형 클래스를 의미합니다. Q2. enum 클래스의 부모는 무조건 무엇이어야 하는가? - java.lang.enum이어야 합니다. 참고 Q1~Q2 자바의 신 6/14 A1~A2 6/15 h2 database Q1. h2 database란 무엇인가? - Q1 코드숨 6/9 리터럴과 메모리 Q1. 정수형 리터럴에 붙는 접미사는 무엇인가? - L이다. Q2. 실수형 리터럴에 붙는 접미사는 무엇인가? - F이다. Q3. 자바는 기본적으로 byte, short, int 자료형의 경우는 몇 바이트에 리터럴이 할당된 다음에 값이 적재되는가? - 4바이트에 리터럴이 할당된 다음에 값이 적재된다. Q4. 리터럴이 변수에 저장된 다음에는 어떤 일이 발생하는가? - 리터럴 메모리는 해제된다. Q5. 4바이트 리터럴 값이 short형 변수에 저장될 때 어떤 일이 발생하는가? - 앞의 2바이트만 자르고, 나머지는 버려진다. Q6. 4바이트 리터럴 값이 byte형 변수에 저장될 때 어떤 일이 발생하는가? - 앞의 1바이트만 자르고, 나머지는 버려진다. Q7. long 자료형에 값을 할당할 때, L접미사가 필요한..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