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 자료 (3) 썸네일형 리스트형 [SCC팀 발표 자료]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 - 지식 공유 1) 서문-여러분이 풀어야 할 문제에 관해서는 여러분이 속한 조직이 아무 데서나 무작위로 뽑은 사람보다 더 깊이 이해하고 있음→ 조직은 자신의 문제 대부분에 스스로 답할 수 있어야 함→ 그러려면 조직 내에는 질문의 답을 아는 전문가들이 필요하고, 그들의 지식을 전파할 메커니즘도 필요함 -이러한 메커니즘에는 “질문 받습니다” 혹은 “알고 있는 걸 적어주세요” 같이매우 단순한 방법부터 튜토리얼이나 수업처럼 더 정돈된 방법까지 다양함→ 하지만 가장 중요한 사실은 조직에 ‘배움의 문화’가 자리 잡혀야 한다는 것이고 그러려면 사람들에게 모르는 걸 인정할 수 있도록 돕는 심리적 안전을 제공해야 함 2) 배움을 가로막는 장애물-조직 전체에 전문성을 공유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서배움의 문화가 견고.. [SCC팀 발표 자료]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 - 팀 워크 이끌어내기 1) 서문-소프트웨어 개발은 ‘팀의 단합된 노력’의 결실임→ 그래서 엔지니어링팀이 성공하려면 겸손, 존중, 신뢰라는 핵심 원칙에 맞게 여러분 자신의 행동을 바로잡아야 함 2)내 코드를 숨기고 싶어요-2006년 구글에서 오픈 소스 프로젝트 호스팅 서비스를 론칭함→ 초기에는 서비스에 관한 질문과 요청이 수없이 쏟아짐→그리고 2008년 중반에 이르자 밀려드는 요청들이 몇 가지 공통된 경향을 띈다는 사실을 알아챔 -”구글 코드에서 운영되는 서브버전에서 특정 브랜치를 숨길 수 있는 기능을 넣어주시겠어요?”-”프로젝트를 비공개로 시작했다가 준비가 됐을 때 오픈 소스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코드를 처음부터 다시 짜고 싶은데요. 히스토리를 싹 지워주실 수 있나요?”-이 요청들에서 공통된 주제.. [SCC팀 발표 자료]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이란? 1) 프로그래밍 vs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프로그래밍 = 개발(development)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 개발 + 수정 + 유지보수→ 즉, 프로그래밍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핵심은 지속 가능성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지속 가능성이란?-기술적인 이유든, 사업적인 이유든, 소프트웨어의 기대 생애 동안 요구되는모든 가치 있는 변경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함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은 의사결정의 복잡성과 이해관계 측면에서도 프로그래밍과 차이가 남→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은 주기적으로 여러 선택지 사이의 트레이드오프를 고려해야 함→ 때로는, 불완전한 지표에 기대어 결과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선택을 해야만 함→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혹은 리더는 지속 가능성을 잃지 않으면서 조직, 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