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42)
항해 백엔드 플러스 8주차 WIL - 항해 백엔드 플러스 8주차에는 '분산 트랜잭션과 Saga 패턴'에 대한 내용을 진행했다 - 솔직히 이번 주차 내용은 좀 난이도가 있었다.   난이도가 있다보니 발제나 공개 Q&A에 대한 부분도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EDA나 MicroService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이 느껴졌다.  이 부분에 대해 보완을 해서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다.  - 우선은 현재는 Payment 서버 하나를 분리하는 작업을 해보았다.  여기서 나아가 실제 MicroService 환경으로 나간다고 생각하면,   다른 도메인 서비스들도 분리를 해야 한다.  우선은 그렇게 나아가기 보다는 분리한 Payment 서버 기준으로   MicroService 패턴을 적용하고  대용량 트래픽 환경에서 테스트해보면서 추가적인 개념..
7주차 WIL 1) 확장성, 확장성, 확장성! - 이번주 과제를 수행하면서 가장 많이 생각하게 된 점은 확장성에 관한 생각이다  항상 확장성을 고려하면서 설계하고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개인 프로젝트를 할 때는 확장성을 고려하면서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무를 할 때는, 회사의 비즈니스 상황에 따라 확장성에 대한 고려가 어려운 환경도 존재한다.  - 100만명이 쓰는 API를 개발하는 것과 100명이 쓰는 API를 개발하는 것은 아예 다른 일이다   축구로 비유를 하자면 프리미어리그에서 축구를 하는 것과 조기 축구를 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  이 점을 빨리 깨닫고, 이 방향으로 고민을 하고, 노력을 해야 백엔드 개발자로서 성장을 할 수 있다   왜 Redis가 필요할까? 왜 Kafka가 필요할까?..
6주차 WIL - 이번 주차 과제에서는 Redis 분산락을 적용해보고, 다른 락과 비교하면서 테스트를 하는 시간을 가졌다  새로운 기술을 시도해보는 것은 좋은 것 같다.   그리고 그 기술을 시도해보면서, 더 채워야 하는 디테일적인 부분들에 대해 알게되는 것 같다 - 과제를 수행하고 나서, 매주 명예의 전당 등을 통해 나보다 과제를 우수하게 하신 분들의 것을    참고할 수 있다는 점이 좋은 것 같다-> 그리고 그러한 점을 참고해서 내 것에도 반영을 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겠다  - 코드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리뷰가 필요한 시점인 것 같다-> 다음주 캐시 과제까지 수행하고 나서 코드를 리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볼 예정이다 - 기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경험 + 비즈니스 유즈케이스에 대한 경험을 병행해서 ..
항해 백엔드 플러스 6기 Chapter2 회고록 항해 백엔드 플러스 Chapter 2가 마무리 되어간다Chapter 2에서는 자신이 선택한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ERD, Mock API 작성, 코드 구현, 동시성 테스트와 같은 작업을 진행했다. 이번 Chapter2를 통해서 배운 점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성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환경의 선택이 중요하다- 성장을 위해서는 개인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환경 또한 중요하다.   이 점을 고려하여 성장을 원한다면 최선의 환경을 선택하기 위한 고민과 결단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비유하자면, 내가 영어를 잘하고 싶은데, 한국에서 영어 학원을 다니면서 공부하는 것과 미국에 유학을 가서  적절한 가이드를 받으면서 영어를 배우는 것 중에서 무엇이 효과적일까?  같은 노력을 한다고 했을 때, 후자가 훨..
스파르타코딩클럽 백엔드 플러스 4주차 WIL - 이번 주는 코드 작성이 가장 많은 주였다-> 요구사항과 테스트 코드를 바쁘게 작성했고, 목요일 새벽 6시까지 개발에 몰입하기도 했다 - 이번 주 주요 사항을 회고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업무 매니징, 시간 매니징에 아직 다소 취약한 것 같다-> 새벽 6시까지 했다는 것이 잘한 것이 아니다-> 어떻게 하면 더 잘 업무와 시간을 매니징 했을지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 (2) 요구 사항에 대해 항상 합리적이고 최선의 해결책을 고민해야 한다-> 왜 이렇게 코드를 작성했는지, 어떤 선택지들을 고민했는지 그것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항상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Why가 제일 중요하다 -> 단순히 과제를 제출했다는 것에 만족하지 말자. 과정을 중요시 여기자.  (3) 청강은 매우 중요하다-> 이 코스의 ..
항해 백엔드 플러스 3주차 WIL 이번주에 배운 점- 새로운 과제에 대해 고민하고 설계하면서 많은 점을 배웠다-> 지금까지 기술적 지식을 책 등을 통해서 습득하는 식으로 성장하려고 했는데,     이러한 부분도 필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어떤 문제들을 경험하고 고민하면서 해결해봤느냐라는 점임을 알게 되었다 - 중요한 것은 엔지니어는 현실에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항상 현실에 있는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그 문제 Context에 대해 넓은 시야를 갖고    경험과 시야를 넓혀야 한다.  - 또한, ERD, Sequence Diagram 등을 작업하면서도, 기본기에 대한 부족함 또한 느꼈고,    이 부분도 보완해야할 것 같다.  - 이론이 없는 경험은 위험하고, 경험이 없는 이론은 공허하다.   여기서..
2주차 WIL -  좀 더 빨리 미리미리 끝내자-> 시간을 너무 타이트하게 했다-> 그러다 보니 전날 3시간만 자고 과제를 하는 결과가 생겼다-> 최소한 화요일까지는 1차로 완성한다는 생각을 갖고 임하자  - 계속해서 공부하면서 해야 한다-> 관련된 내용을 공부하고, 또 관련 케이스들을 다른 사람들이 한 것을 찾아보면서      연구하면서 해야 한다-> 그래야 얻어가는 것을 극대화할 수 있다 - 해당 주제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완벽히 이해한 것은 아닌 것 같다-> 이에 대한 추가적인 피드백을 통해서 명확하게 이해하고 내 것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1008 TIL - 비판적 사고 능력의 중요성
0904 TIL - 코드를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0902 TIL -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문제를 정의한 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습을 한다. - 가장 중요한 것은 코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