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42)
0824 TIL - 개발 글 3~4개당 1개 정도로 개발과 관련된 생산성, 팀워크 등의 주제에 대한 글을 작성하자 - 오픈 마인드와 사회적 지능의 중요성 - 목표를 생각한다 - 개발을 하는 시간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 - 개발을 해야 한다 - 핵심과 본질은 개발을 하는 것이다 - 필요한 것을 공부한다
0822 TIL - 경험의 중요성
0814 TIL - 문제의 근본 원인을 생각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0725 TIL - 면접 '준비'를 해야 한다 - 서류 지원 '준비'를 해야 한다 - 항상 우선순위를 생각해야 한다 - 계획의 중요성
0711 TIL - 나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 It's a matter of who you are - 이 일을 왜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자각이 중요하다 - 보다 쉬운 걸로 학습해야 학습 효과가 높다. - 과정이 행복한 것이 중요하다 -> 그 과정이 행복한 것이 중요하다
0708 TIL - 주중에는 프로젝트+개인 블로그 이 2개에만 집중한다 -> 개인 블로그도 일정한 시간을 정해서 그때 한다 -> 글쓰기는 우선순위를 정해서 실천한다. - 코딩테스트는 주말에 따로 시간을 만들어서 한다 -> 분리를 한다 - 주중에 다른 스터디는 하지 않는다 -> 프로젝트에만 집중한다 - 지원하고자 하는 회사에 대해 더 리서치하고 전략을 수립한다. - 목표 대비 자신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능동적으로 해결하는 사람이 성장한다. - 리더십 원칙에 부합하는 행동들만 취한다. - 최고가 되겠다고 결심한다. - 빨리 부딪혀야 한다. 그래야 방향을 잘 잡아나갈 수 있다. - 방향을 잘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나의 이력과 이력서에 대해 더 고민해야 한다 - 결과로 증명해야 한다. 항상. - 더 깊게 회고..
0705 TIL - 본인이 잘 모르고 경험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이것을 인정할수록 지적으로 겸손해지고 문제를 더 잘 해결할 수 있다 -본인이 무엇을 모르는지 모르는 것이 가장 큰 리스크다 - 편향이 가장 큰 문제이다 - 경험 부족이 가장 큰 리스크이다 - 야생형이 되어야 한다. 야생형 개발자. 야생형 인간. - 사회에 무엇이 필요한가? - 무엇을 현실화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 좋은 회사 가는 것보다 내가 잘하는 것이 중요하다. -> 내가 잘하는 것보다 왜 잘하고자 하는지가 더 중요하다.
0704 TIL - 검증을 이겨내는 것이 핵심
0703 TIL - 지르고 수습한다 -> 지르고 수습한다는 자세로 임해야 한다. -> 리스크에 대해 소극적인 자세를 갖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 개념을 넘어서 '실제' 동작 원리에 대해 이해하고 숙지해야 한다. -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의 깊이가 중요하다 - 공부를 해 나가는 사고의 흐름이 중요하다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항상 지적으로 겸손해야 한다 - 면접 준비는 구체적인 회사를 타겟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저 회사를 통과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고, 어떻게 답을 해야 하는가? 라고 질문을 던져보자. -> 한 번에 한다는 생각보다는 틈틈이 쌓아가는 것이 좋다. - 도전 정신이 중요하다 - 빠르게 실행하고, 바로 실행해야 한다 - 무언가를 좋아해야만 자발적인 실행이 가능하..
0701 TIL - 공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글쓰기인 것 같다. - 앞으로 가능한 한 하루 한 편씩 완성된 글을 작성하면서 공부한 것을 효과적으로 내 것으로 만들고 싶다. - 공부를 할 때, 모르는 게 있으면 꼬리 물기 식으로 계속해서 찾아나가는 편이 좋다 - 결과 중심, 목표 중심으로 학습 하는 편이 좋다 - 여러 자료를 복합적으로 학습 하는 편이 좋다. - 기본적인 것을 깊게 알아야 한다. - 쉬운 것과 약간 어려운 것을 섞어서 공부해야 한다. - 개발자는 R&D를 한다.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하다. - 배운만큼 충분히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 내일 목표 1. 미용실 2.도서관 3. 프로젝트 수행 4. 코테준비 5.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