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42) 썸네일형 리스트형 0613 TIL - 개발자의 실력은 경험을 통해서 완성된다 0609 TIL 3Fs 1. Fact - 코드숨 강의 학습 2. Feeling - 만족감과 긍정적 감정을 느낀다. 3. Finding - 좋은 개발자가 된다는 것은 단순히 시장에서 좋은 대우를 받고자 하는 동기를 넘어선 좀 더 근원적인 동기인 것 같다. - 문제 해결을 잘한다는 것은 결국 훈련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 지식과 문제 해결 능력의 관계에 대해 생각했다. - 내가 고민하는 레벨이 대부분 도구적 관점에서의 고민이라는 생각을 했다. -> 즉, 내가 고민하는 주제, 예를 들어 '문제 해결 능력', '학습법'과 같은 도구적 성격을 가진 것들이다. -> 하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이런 질문이라는 생각을 했다. '왜 하세요?' '왜 문제를 해결하세요?' '왜 학습하세요?' - 마치 이런 것이다. -> 배를 항해하고 .. 0528 TIL 3F 1. Fact - 코드숨 과제 - 자바와 JUnit을 활용한 실용주의 단위 테스트 학습 - 면접 준비 강의 - 윤석님 코딩테스트 강의 2. Feeling - 면접 준비 강의를 들으면서, 만족감을 느꼈다 3.Finding - 공식 문서를 읽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공부 방법이다. -> 공식 문서가 기본이다. - 기본이 답이다 -> 기본적인 것을 깊게 이해하는데 시간을 투자하자 - 면접 준비 강의를 구입한 것은 매우 잘한 것 같다 -> 이미 성취를 한 사람의 지혜를 얻는 것은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길이다 - 윤석님 코딩테스트 강의를 통해 나의 문제 풀이 습관을 되돌아봤다 -> 좀 더 체계적인 접근법을 익히고 훈련해야겠다고 생각했다. - 컴퓨터 기초 용어들을 충분히 깊게 이해하고, 공부해야 한다 -.. 0526 TIL 3F 1. Fact - 코딩테스트 준비(코드트리, 프로그래머스) - 코드트리 10문제, 프로그래머스 4~5문제 - 코드숨 과제 2. Feeling - 여러 가지 감정을 느꼈다. -> 내일 시험이 있어서 문제가 안 풀릴 때, 분노(?)와 고통(?)과 다급함(?)을 느꼈다. - 토요일 코딩테스트 준비를 하면서 코드숨 과제에 시간 투자를 많이 못해서 마찬가지로 내적 갈등(?)을 느꼈다. 3.Finding - 문제를 급하게 풀고, 계획 없이 바로 코드를 짜는 습관을 고쳐야 한다. -> 계획 없이 바로 코드를 짜면 그것이 더 빠를 것 같지만, 결과적으로는 더 느린 결과를 가져온다. -> 왜냐하면 코드의 완성도가 떨어지고, 그로 인해 디버깅해야 하는 부분이 생기고, 디버깅하는데 시간이 많이 투입되기 때문이다. ->.. 0525 TIL 3F 1. Fact - 코딩테스트 준비(코드트리) - 코드숨 과제 - 프로그래머스 커뮤러닝 신청 2. Feeling - 약간의 불만을 느꼈다. 3.Finding - 라인 인턴 서류에 합격했다. -> 회사에 대한 지원을 중심으로 준비를 해나가는 것이 효과적이다 -> 목표가 명확할수록, 목표에 대한 due가 있을수록 준비 과정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다. -> 하나 하나의 기회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지원서를 제대로 작성해야겠다. -> 많이 배울 수 있는 기회인것 같다. - 지금까지 해온 과정들을 리디자인했다. (1) CS 면접 준비에 있어서 인프런에서 새 강좌를 결제했다 -> 지금까지 Bottom-Up 방식으로 준비를 해왔던 것 같다. -> 생각이 바뀐 점은 Bottom-Up방식과 Top-Down 방식을 결합할 .. 0524 TIL 3F 1. Fact - JPA 강의 복습 - 코딩테스트 문제 5문제 풀이 - 코딩테스트 준비법 강의 수강((109) 대기업 IT직군 코딩테스트 합격을 위한 현실적이고 직관적인 공부 순서 - YouTube) - 백기선 면접 준비 강의 수강 - 백기선 스프링 공부법 강의 수강((109) [스프링 가이드] "토비의 스프링 그렇게 보지 마세요." - YouTube) - 스프링 스터디 2. Feeling - 새로운 관점을 많이 획득한 것 같아서 만족감을 느낀다. 3.Finding - 학습 보다는 학습법에, 이직보다는 이직 준비법에 시간을 투자한 하루였다. -> 이를 통해서 많은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 - 어떤 내용을 처음 학습할 때는 강의로, 이후에 심화할 때는 책으로 하는 것이 좋다 -> 강의는 보통 강의자가.. 0523 TIL 1. Fact - 코드숨 피드백 내용을 반영했다. - 3주차 코드숨 주간 회고를 작성했다. - AOP 강의를 복습했다. - 운영체제 프로세스~프로세스 공유까지 복습했다 - 코드숨 4주차 강의1을 들었다 - Git 강의를 들었다. 2. Feeling - 충분히 몰입했다는데서 만족감을 느낀다. 3. Finding - 그냥 하면 된다 - 최대한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스스로 조성해야 한다 - CS 기초 지식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느꼈다. - 한정된 시간을 최대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 가장 중요한 것을 먼저 해야 한다 0521 TIL 3F #1 1. Fact - 스프링 기초 내용을 복습했다 - 코딩테스트 문제를 풀었다. 2. Feeling - 코딩테스트에서 성장이 있는 것 같아서 뿌듯하다 - 스프링 기초 지식이 쌓이는 것 같아서 뿌듯하다. 3. Finding - 2년 후에 구글을 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 2024년 5월 22일 - 코딩테스트를 단순히 시험을 보기 위해서 하는 것이라고 바라보기보다는,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과정이라고 바라본다. 그렇게 하면 마음에 더 여유가 생기고, 잘할 수 있게 된다. - 현실인지능력이 중요하다 -> 현실인지능력을 기반으로 문제를 하나씩 해결해 나간다. - 코딩테스트도 디테일이 중요하다 -> 각 풀이 단계에 디테일이 뛰어나야 하고, 각각의 단계에 대한 분명한 노하우가 있어야 한다 -> 나보다 더.. 0520 TIL 3F #1 1. Fact - 자소서 2개를 완료했다 -> 자소서를 작성할 때, 다른 사람의 자소서를 참고했다. - 코드숨 과제를 제출했다. - 스프링 기초 개념을 복습했다. -> 복습할 때, 이전에 받았던 면접 자료를 참고했다. 2. Feeling - 다른 사람의 자소서를 보면서, 이전 내 자소서와 비교하며, 더 잘 쓸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 면접 자료를 참고하면서 공부를 하면서 자신감이 들었다. 3. Finding - 자소서를 작성하는 것도 역량이다. -> 글을 작성하는 것도 커뮤니케이션 역량이다 -> 상대방이 요구하는 것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것을 간결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 - 자소서에 대해서도 자소서를 잘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한테 피드백 받아보는 것이 좋다... 0519 TIL 3F #1 1. Fact - 코드숨 과제를 완료했다. - 코딩테스트(코드트리) 문제를 20개 가량 풀었다. - 자소서를 2개 작성하고 윤석님께 피드백을 요청했다. 2. Feeling - 코드숨 과제를 완료해서 뿌듯했다 -> 다만, 좀 더 빠르게 마치지 못해서 아쉬움이 있었다. - 자소서를 작성함에 있어서 머뭇거림과 불편함을 느꼈다. 3. Finding - 목표를 세우는 것은 일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스킬이다. -> 즉, 하루에 같은 노력을 기울이더라도, 전날에 목표를 세운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 성과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았다. -> 다만, 내가 사용 가능한 시간을 고려하고, 그것을 고려한 목표를 세워야 한다. - Fail Early, Fail Often, Fail Forwa..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