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42)
0630 TIL - 어떤 것이든 제대로 깊이 있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 -> 그리고 그것을 실용적인 레벨에서 적용하고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 두 가지 능력이 필수적이다. - 이력서에 쓸만한 글을 작성해보자 -> Done is better than perfect - 글쓰기 역량은 개발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역량이다. -> 글을 쓸 때는 내 언어로 풀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 트러블 슈팅과 관련된 기록을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 -> 기록을 남겨두면 나중에 그 부분을 찾아서 공부 할 수 있다. - 목표 의식 - 전략 - 실행 - 피드백 -> 이 4가지가 사이클이 되어야 한다. - 항상 겸손함을 유지하자 - 캐치 강연을 통해 많은 점을 배웠다. -> 배운 점들을 참고해서 실행하면서 내 것으로 소화해보자 - 배민부트캠프 기술 ..
0629 TIL 3Fs 1. Fact - 프로젝트 개발을 했다 - 코딩테스트 문제를 3문제 풀었다. 2. Feeling - 첫 PR을 보낸데에 만족감을 느낀다. - 코딩테스트 문제를 풀고 자신감을 느꼈다. 3. Findings - Git을 제대로 공부하고 제대로 다룰 줄 알아야 한다. -> 매우 기본적인 기술이면서 만만하게 생각해서는 안된다. - 개발을 하기 전에 프로젝트에 어떤 기능이 필요할지 정리해봐야 한다. -> 필요한 기능들을 정리하고, 우선순위를 정해보자. - 견문을 넓히고 이미 성취를 이뤄본 사람하고 교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0628 TIL 3Fs 1. Fact - 프로젝트 개발을 했다 - 자료구조, 알고리즘 스터디를 했다. 2. Feeling - 프로젝트 개발이 점점 흥미있어진다. 3. Finding - TDD를 한다는 것은 API 개발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과 경험이 있어야 한다. -> 즉, 어떤 테스트를 작성할지 고민하려면 어떤 API에 대한 테스트를 어떻게 작성할지 머릿속에 그려봐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API 개발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 - 다양한 형식으로 공부할수록 실력이 빠르게 늘 수 있다. - 자신이 작성한 코드 혹은 사용한 어노테이션 등에 주석으로 그것을 사용한 이유를 정리해보는 것은 해당 기술과 관련된 지식을 정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TDD가 아직 익숙하지는 않다. 정확히는 오늘 작업 기준으로 이야기하자면 기..
0627 TIL 3Fs 1. Fact - 코드숨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 프로젝트 코딩 과정을 윤석님께 피드백 받았다 - 스프링 MVC 강의를 들었다. 2. Feeling - 피드백을 통해 나의 습관을 되돌아보고 배움과 깨달음을 얻었다. 3. Finding - 앞으로는 내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관련 있는 것만 공부해야겠다. - 코드숨의 고통(?)주도 개발과 훈련 과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 생각을 했다. -> 미리 나의 코딩 과정을 오픈하고 피드백 받았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 개발 실력은 코딩을 하는 과정에 드러난다 -> 개발 실력을 잘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은 그 사람이 코딩을 하는 과정을 지켜보고 관찰하는 것이다. ->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어떻게 사고하는지 등을 관찰하는 것이다. - 내가 고집이 강했..
0626 TIL - 무언가를 좋아해야만 그것에 대한 자발적 실천이 가능하다. 그리고 자발적 실천이 가능하면 결과에 있어서 엄창난 차이가 발생한다. - 좋아하는 것에 몰입하면 삶의 질이 올라간다. - 코테 준비를 열심히 하자 - 개발을 열심히 하자
0625 TIL 3Fs 1. Fact - 스프링 MVC 강의를 들었다 - 클린 아키텍쳐 스터디에 참가했다. - 자바 JVM, GC 관련 개념을 정리중이다. -> 종립님 블로그를 참고했다. 2. Feeling - 기분이 좋다 -> 종립님 블로그를 보고 나의 블로그를 리뷰해보면서 전문성에 대한 나만의 관점이 향상된 것 같다. 3. Finding - 역량을 쌓는 것과 역량을 증명하는 것은 다르다 -> '왜 역량을 증명해야 하는가? 어떻게 역량을 증명할 것인가? 에 초점을 맞춰서 사고하고 행동해야겠다. - 개발자로서의 정체성은 의도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 나는 어떤 관점에서 의사소통을 하는가? 왜 그런 의사소통을 하는가? 의사소통의 목적이 무엇인가? - 문제 해결 능력에서 중요한 점은 문제 해결적인 접근을 습관화하는 것이..
0624 TIL 3Fs 1. Fact - 목표에 대한 기한을 세우고 그것을 공표했다 - 합격한 회사에서 내가 맡게될 직무에 대해 질문했다 2. Feeling - 목표 달성에 대한 긴장감을 느꼈다 - 현명한 판단을 위해 노력하면서 냉정함을 느꼈다 3.Finding - 목표달성은 기술이자 지식이다. -> 목표달성을 잘하는 사람은 그 기술을 익히고 지식을 알고 있는 사람이다 - 의사결정도 마찬가지로 기술이다 -> 과거의 의사결정으로부터 배움을 얻고, 그 기술을 익히도록 하자 -> 나는 무엇을 배웠는가? - 의사 결정에서 중요한 것은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올바른 질문을 충분히 깊이있게 던져야 하며, 정보를 수집한 이후에는 그 정보를 다른 믿을만한 사람과 공유하여, 그 정보의 ..
0622 TIL 3Fs 1. Fact - 면접 제출을 위해 나의 github을 되돌아 봤다 -> 나의 코드숨 과제와 코드 커밋 기록 등을 되돌아봤다. -> 많이 빈약했다. 2. Feeling - 부끄러움을 느꼈다. 3. Findings - 코드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 -> 글이 아닌 코드 중심으로 학습을 해야 한다 - 다른 사람의 github 커밋 등을 보고 참고하면서 모르는 부분에 대해 배워나갸아 한다 -> 이것도 일종의 trouble shooting이고, 문제 해결 능력이다. -> 학습을 일종의 문제 해결로 보고, 문제 해결 프레임웍을 만들어볼 수 있을 것 같다. - 코딩에 공부가 필요한 것은 맞다 -> 단, '무엇'을 '어떻게' 공부하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 '올바르게' 공부하고 있는가? -> 공부란 무엇일까? ..
0615 TIL - 기술의 핵심은 사용자이다
0614 TIL - 코딩테스트는 항상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를 추가해서 테스트해봐야 한다 -> 그래야만 엣지 케이스를 걸러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