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Fs
1. Fact
- 프로젝트 개발을 했다
- 자료구조, 알고리즘 스터디를 했다.
2. Feeling
- 프로젝트 개발이 점점 흥미있어진다.
3. Finding
- TDD를 한다는 것은 API 개발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과 경험이 있어야 한다.
-> 즉, 어떤 테스트를 작성할지 고민하려면
어떤 API에 대한 테스트를 어떻게 작성할지 머릿속에 그려봐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API 개발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
- 다양한 형식으로 공부할수록 실력이 빠르게 늘 수 있다.
- 자신이 작성한 코드 혹은 사용한 어노테이션 등에 주석으로 그것을 사용한 이유를 정리해보는 것은
해당 기술과 관련된 지식을 정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TDD가 아직 익숙하지는 않다.
정확히는 오늘 작업 기준으로 이야기하자면 기존에 코드를 작성하던 습관과 TDD를 섞어서했다.
-> 아직 TDD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해서 그런 것 같다.
-> 이 부분을 강의를 보면서 한 번 흐름을 파악해봐야겠다
- 지금 내가 작성한 코드를 기준으로 인터페이스와 구현 클래스 간의 관계,
그리고 OCP와 DIP가 어떻게 지켜지는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 좋은 개발자는 항상 비판적으로 사고한다.
-> 왜냐하면 자신이 작성한 코드, 자신이 작성한 방식은
자신의 지식과 경험 범위 내에서의 것인데
그것이 최선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 특히 연차가 낮거나 주니어 레벨일수록 그러할 확률이 높다.
-> 따라서 '이것이 최선인가?', '더 나은 방법이 없는가?'라는 질문을 통해서
새로운 방식을 찾아서 습득하고 적용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 책이나 강의로 배운 것을 항상 어떻게 적용할지 생각해야 한다
- 자료구조, 알고리즘 스터디하는 것을 한 번 정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