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0625 TIL

3Fs

 

1. Fact

- 스프링 MVC 강의를 들었다

- 클린 아키텍쳐 스터디에 참가했다. 

- 자바 JVM, GC 관련 개념을 정리중이다.

-> 종립님 블로그를 참고했다. 

 

 

2. Feeling

- 기분이 좋다

-> 종립님 블로그를 보고

    나의 블로그를 리뷰해보면서 전문성에 대한 나만의 관점이 향상된 것 같다. 

 

 

3. Finding 

 

- 역량을 쌓는 것과 역량을 증명하는 것은 다르다

-> '왜 역량을 증명해야 하는가? 어떻게 역량을 증명할 것인가?

    에 초점을 맞춰서 사고하고 행동해야겠다.

 

- 개발자로서의 정체성은 의도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 나는 어떤 관점에서 의사소통을 하는가?

  왜 그런 의사소통을 하는가? 의사소통의 목적이 무엇인가?

   

- 문제 해결 능력에서 중요한 점은 문제 해결적인 접근을 습관화하는 것이다. 

  이직도 구직도 모두 문제 해결적인 프레임웍에서 해석되고 실행될 수 있다. 

 

- 문제 해결의 전제는 목표이다. 즉, 목표가 있기 때문에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생한다.

  단, 해결해야 할 문제를 '무엇'으로 정의하고, 왜 그것으로 정의했는지가 중요하다. 

  내가 정의한 문제에 대해 다른 신뢰할 수 있는 사람과 공유함으로써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이 날카로워지고 구체화될 수 있다.

 

- 학습을 바라보는 시각을 다양화해야 한다. 

  책을 읽고 강의를 듣는 것도 학습이지만, 

  코딩을 하는 것도 학습이고, 글을 쓰는 것도 학습이다. 

  일반적으로 학습의 난이도가 높을수록 더 많이 배울 수 있다. 

 

- 지혜란 무엇인가? 지식과 지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의지가 문제가 아니라 맹목적 의지가 문제이다. 

 

- 무엇을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왜 하는지가 중요하다. 

  그 다음 중요한 것이 '어떻게' 하는지가 중요하다. 

 

- 협력이란 무엇인가? 협력에 대해 고민하고 배워야 한다.

 

- 모든 것에 '왜?'라는 질문을 던지는 습관을 지녀야 한다. 

-> 생각의 습관. 생각하는 습관이 변해야 한다. 

 

- 백엔드 개발자 면접 질문

GitHub - ksundong/backend-interview-question: 백엔드 개발자로 입사를 준비하며 받았던 질문, 예상했던 질문, 인터넷 참고한 질문(CC BY-NC) 

 -> 하나씩 해결해나간다

-> 하나씩 해결해나가는 것이 중요 

-> 차곡차곡 쌓아나가는 것이다. 

-> 면접 답안은 검증된 답안에 살을 붙이는 식으로 나아가자. 

 

- 롤모델이 매우 중요하다. 

 

- 전문성을 위해서는 개념의 단위를 쪼개야 한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27 TIL  (0) 2022.06.27
0626 TIL  (0) 2022.06.26
0624 TIL  (0) 2022.06.25
0622 TIL  (0) 2022.06.23
0615 TIL  (0) 2022.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