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 요즘에는 모든 것이 HTTP 위에서 동작합니다. 따라서 HTTP를 제대로 이해하고, 그 위에서 Spring Web MVC와 같은 웹 기술들을 공부해야 합니다. -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입니다. 처음에는 HTML, TEXT 등을 전송하는 것으로 시작했는데, 지금은 모든 것(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등)을 HTTP에 담아서 전송합니다. 그리고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를 사용합니다. - HTTP의 역사를 간단하게 보면, HTTP 1.1이 1997년에 등장했는데, 지금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HTTP2와 HTTP3는 성능 개선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 HTTP 1.1과 HTTP2는 TCP 기반으로, HTTP3는 ..
TCP vs UDP
- TCP와 UDP는 모두 TCP/IP 모델의 '전송 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 두 프로토콜은 서로 상반된 특징을 가지므로, 같이 비교해서 알아두면 좋습니다. - TCP와 UDP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CP UDP 특징 연결 지향, 신뢰 지향 비연결 지향, 비신뢰 지향 제어 흐름 제어, 오류 제어, 혼잡 제어 제어 없음 속도 느림 빠름 데이터 이름 세그먼트 데이터그램 활용 문서 다운로드 실시간 스트리밍 사용 프로토콜 HTTP 1.1, HTTP 2, HTTPs, FTP HTTP 3, DNS, DHCP - 각각의 항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특징 - TCP는 연결 지향, 신뢰 지향 프로토콜이고, UDP는 비연결 지향, 비신뢰 지향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TCP와 UDP의 ..
google.com에 접속했을 때 일어나는 일
- 유저가 google.com에 접속했을 때,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납니다. 1) URL인 google.com이 입력되면,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합니다. ※ HTTP 요청 메시지란? - HTTP 요청 메시지는 HTTP 요청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메시지로서, 시작 라인, 헤더, 바디로 구성됩니다. 시작 라인에는 HTTP 메서드, URL, HTTP 버전이 포함됩니다. 헤더는 전달되는 바디 메시지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Accept, Accept-Language, Content-Type, Content-Length 등이 포함됩니다. 바디는 전달되는 본문 데이터가 들어갑니다. 2) 도메인 주소인 google.com을 DNS Lookup을 통해서 해당 도메인 주소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