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0609 TIL

3Fs

 

1. Fact

- 코드숨 강의 학습

 

2. Feeling

- 만족감과 긍정적 감정을 느낀다. 

 

 

3. Finding

- 좋은 개발자가 된다는 것은 단순히 시장에서 좋은 대우를 받고자 하는 동기를 넘어선

  좀 더 근원적인 동기인 것 같다. 

 

- 문제 해결을 잘한다는 것은 결국 훈련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 지식과 문제 해결 능력의 관계에 대해 생각했다. 

 

- 내가 고민하는 레벨이 대부분 도구적 관점에서의 고민이라는 생각을 했다. 

-> 즉, 내가 고민하는 주제, 예를 들어 '문제 해결 능력', '학습법'과 같은 도구적 성격을 가진 것들이다. 

-> 하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이런 질문이라는 생각을 했다.

    '왜 하세요?'

    '왜 문제를 해결하세요?' 

   '왜 학습하세요?' 

 

- 마치 이런 것이다. 

-> 배를 항해하고 있는데, 마치 '어떻게 하면 더 빠르게 배를 움직일까?', '어떻게 하면 암초에 걸리지 않고 배를 항해시킬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연료를 적게 쓰고 항해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연구를 하는데,

    정작 '왜 가는가?', '왜 항해를 하는가?', '왜 '굳이' 가야 하는가? 가만히 있으면 안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 그리고 그것에 대해 무지하다. 즉, 자신이 무지하다는 것에 무지하다. 그리고 정말 중요한 부분에 대해 무지하다. 

 

-어떻게 하면 더 빠르게 배를 움직일까?', '어떻게 하면 암초에 걸리지 않고 배를 항해시킬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연료를 적게 쓰고 항해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

-> 이 질문들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 다만, 질문의 순서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 선행되어야 하는 질문이 있다. 

 

- 왜 이 지점이 정말 중요할까?

-> 왜 정말 중요한지 모른다. 왜 정말 중요한지 모른다는 사실을 안다. 

     그렇다면 왜 정말 중요한지 모른다는 사실을 알았으니,

     그것에 대해 알려는 시도를 한다면, 왜 정말 중요한지 알 수 있을까?

 

 

 - 진도가 많이 나가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았다.

-> 진도가 많이 나간다고 많이 학습하는 것이 아니다. 

 

-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았다

-> 정말 중요한 것은 내가 뭘 알게 되고, 뭘 할 수 있게 되었느냐이다. 

 

- 그럼에도 기한과 목표라는 것은 몰입과 동기부여를 끌어낼 수 있다는 점을 알았다. 

->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기한과 목표 없이도 자발적으로 동기부여를 이끌어낼 수 있냐는 점이다. 

 

- 프로그래밍은 왜 훈련인가?

-> 훈련이란 무엇인가?

 

- 철학이란 무엇인가?

-> 왜 철학인가?

 

- 실제 할 때, 가장 많이 배운다. 

 

- 누구한테 어떤 질문을 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 프로젝트를 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14 TIL  (0) 2022.06.15
0613 TIL  (0) 2022.06.13
0528 TIL  (0) 2022.05.29
0526 TIL  (0) 2022.05.27
0525 TIL  (0) 2022.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