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셀프 테스트

서블릿 프로젝트(2)

 

Q1. 스프링 부트는 무엇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무엇의 설치 없이 서블릿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가?

 

 

Q2. 스프링 부트에서 서블릿을 쓰려면 어떤 애노테이션을 지원하는가?

       그 애노테이션의 역할은 무엇인가?

 

 

Q3. 먼저 서블릿은 무엇을 상속 받아야 하는가?

 

 

Q3-1 HttpServlet을 상속 받고 나서 어떤 애노테이션을 넣어야 하는가?

 

 

Q3-2. @WebServlet 애노테이션을 선언하고 나서 무엇과 무엇을 지정해야 하는가?

 

 

Q3-3 urlPatterns로 오면 무슨 일이 발생하는가?

 -

 

 

Q4. HttpServlet의 메소드 중에서 어떤 메소드를 선언해야 하는가?

 

 

Q5. url에 요청이 오면 WAS가 무엇과 무엇을 만들어서 서블릿에 던져주는가?

 

 

 

Q6. Tomcat 등의 WAS 서버가 무엇을 구현하는가?

 

 

 

Q7. 서블릿은 무엇을 매우 편하게 읽도록 지원해주는가?

       그 코드는 무엇인가? 

 

 

Q8. response에 대해 Content-Type과 CharacterEncoding을 지정하는 코드는 무엇인가? 

       이 두 정보는 어디에 들어가는가? 

 

 

Q9. response의 http 메시지 body에 데이터를 넣기 위한 코드는 무엇인가?

       왜 response의 http 메시지 body에 데이터를 넣어야 하는가?

 

 

Q10. 개발자 도구 들어가서 요청해보면, 무엇과 무엇을 볼 수 있는가?

 

 

Q11. Response Header에는 어떤 정보가 있는가?

 

 

 

Q12. 서블릿이나 url매핑에서 주의할점은 무엇인가?

 

 

Q13. HTTP 요청을 통해 매핑된 URL이 실행되면 누구에 의해 어떤 일이 발생하는가?

 

 

Q14. 개발할 때 편리하게 HTTP 요청 메시지를 다 보고 싶으면, 어디에 무엇을 추가하는가?

 

 

Q15. Q14의 내용은 주로 어디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좋은가?

 

 

 

 

참고

Q1~Q15 스프링 MVC 1편 6/26 

'셀프 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상태 코드  (0) 2022.06.27
HttpServletRequest  (0) 2022.06.26
서블릿 프로젝트(1)  (0) 2022.06.26
JVM 힙 구조(GC)  (0) 2022.06.23
데이터베이스 (1)  (0) 2022.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