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abbitMQ와 AMQP
- RabbitMQ는 개발 과정에서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성능, 안정성을 중요한 목표로 개발됐고,
2007년 처음 출시했을 때, AMQP(Advanced Message Queuing Protocol) 스펙을 구현한 최초의 메시지 브로커 중
하나였다.
- AMQP는 RabbitMQ 구현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끼쳤다.
AMQP 스펙은 RabbitMQ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뿐 아니라 RabbitMQ의 핵심 기능 구현을 위한
논리적인 모델의 윤곽에도 영향을 줬다.
- 메시지 프로토콜과 메시지 브로커는 다양하므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애플리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메시지 프로토콜과 메시지 브로커를 선택해야 한다.
RabbitMQ는 AMQP를 기반으로 구현됐지만, MQTT, STOMP, XMPP 등 다양한 프로토콜도 제공한다.
- 다른 메시지 브로커와 비교할 때, RabbitMQ는 다양한 프로토콜과 플러그인을 제공하므로
멀티 프로토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에는 좋은 선택이다.
- RabbitMQ는 AMQP 스펙을 구현했는데, 주요 아키텍처와 통신 방식이 핵심이다.
이는 RabbitMQ를 다른 메시지 브로커와 비교하며 평가할 때 중요한 차이점이다.
AMQP를 구현한 RabbitMQ는 유연한 메시지 라우팅, 메시지 내구성 설정, 데이터센터 간 통신 등
메시지 지향(message-oriented) 아키텍처의 복잡한 요구 사항에 대한 벤더 중립적이며
플랫폼 독립적인 솔루션이다.
'RabbitMQ in dep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bbitMQ in depth] AMQP의 RPC 프레임 구조 (0) | 2025.05.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