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HTTP 프로토콜(1)

Q1. TCP/IP는 무엇의 집합인가?

- 프로토콜의 집합이다. 

 

Q2. TCP/IP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무엇인가?

- 계층화이다. 

 

Q3. 계층화했을 때의 장점은 무엇인가?

-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느 곳에서 발생했는지 쉽게 파악이 가능하다. 

 

 

Q4.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포함된 것은 무엇이 있는가?  

- HTTP 프로토콜, FTP 프로토콜, DNS 시스템 등이 있다. 

 

 

Q5. 트랜스포트 계층에 포함된 것은 무엇이 있는가?

- TCP 프로토콜, UDP 프로토콜 등이 있다. 

 

 

Q6. 인터넷 계층에서는 무엇을 다루는가? 그리고 무엇을 결정하는가?

- IP 프로토콜이 존재하며, 라우팅을 다룬다. 

 

 

Q7. 네트워크 접속 계층에서는 무엇을 다루는가?

- 물리적 네트워크 접속을 다룬다. 

 

 

Q8. TCP/IP 통신은 어떤 흐름으로 일어나는가?

       단계별로 설명해보자. 

 

 

Q9. IP의 역할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요소가 필요한가?

-

 

 

Q9-1 IP주소란 무엇인가?

-

 

 

Q9-2 MAC 주소란 무엇인가?

 

 

Q9-3 목적지까지 중계를 하는 시스템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라우팅 시스템이라고 한다. 

 

 

Q10. TCP 계층의 역할은 무엇인가?

         TCP 계층은 큰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는가?

 

Q10-1 TCP 프로토콜에서 상대에게 확실하게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TCP 3-way handshake이다. 

 

Q10-2 TCP 3-way handshake 시 송신측에서는 최초 '어떤' 플래그로 상대에게 패킷을 보내는가?

- SYN 플래그로 상대에게 패킷을 보낸다. 

 

Q10-3 수신 측에서는 '어떤' 플래그로 송신측에 접속하고 동시에 패킷을 수신한 사실을 전하는가?

- SYN+ACK 패킷으로 수신한 사실을 전한다. 

 

Q10-4 마지막으로 송신측이 '어떤' 플래그를 보내 패킷 교환이 완료되었음을 전하는가?

- ACK 패킷으로 교환이 완료되었음을 전한다. 

 

 

Q11. DNS란 무엇인가?

- Domain Name System의 줄임말로, URL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Q12. URI란 무엇의 약자인가?

         그리고 각각의 단어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 Uniform Resource Identifer의 약자이다. 

  Uniform - 단일한 

  Resource - 자원 

  Identifier - 식별자 

 

Q13. 절대 URI포맷은 어떻게 되는가?

 

Q13-1. 스킴이란 무엇인가?

- 프로토콜의 종류를 의미한다. 

 

 

참고 

Q1~Q13 그림으로 배우는 HTTP 네트워크 기초 6/20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싱  (0) 2022.06.26
JSON  (0) 2022.06.26
컴퓨터 네트워크(2)  (0) 2022.06.20
컴퓨터 네트워크(1)  (0) 2022.06.20
CSRF  (0) 2022.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