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

예외 처리(Exception Handling)(4) - 예외 발생시키기

1) 예외 발생시키기

- 우리가 예외를 직접 다음과 같이 발생시킬 수도 있습니다. 

1. 연산자 new를 이용해서 발생시키려는 예외 클래스의 객체를 만든 다음
   Exception e = new Exception("고의로 발생시켰음");

2. 키워드 throw를 이용해서 예외를 발생시킨다
   throw e;
   
   
class Ex8_6{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ry{
         Excepetion e = new Exception("고의로 발생시켰음");
         throw e;
      }catch(Exception e){
        System.out.println("에러 메시지: " + e.getMessage());
        e.printStackTrace();
      }
      System.out.println("프로그램이 정상 종료되었음");
   }
}   
   
// 실행 결과
에러 메시지: 고의로 발생시켰음
java.lang.Exception: 고의로 발생시켰음
    at EX8_6.main(Ex8-6.java:4)
프로그램이 정상 종료되었음

 

2) checked 예외, unchecked 예외

- checked예외: 컴파일러가 예외 처리 여부를 체크합니다. (ex) Exception과 그 자손)

                         예외 처리(try~catch)가 필수입니다.

- unchecked예외: 컴파일러가 예외 처리 여부를 체크 안하는 것입니다. (ex) RuntimeException과 그 자손)

                         예외 처리가 선택입니다.

class Ex8_7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ry{
           throw new Exception();
        }catch(Exception e){
        }
   }
}
class Ex8_7{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 new RuntimeException();
    }
}

 

참고

남궁성 자바의 정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