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에 대한 이해
- 우리가 풀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 주어진 자료는 무엇인가?
- 조건은 무엇인가?
- 우리가 문제를 풀기 위해 주어진 자료가 충분한가?
- 숨겨진 조건이나 자료가 있는가? 그렇다면 그 것을 다른 방법으로 해석해보라.
- 문제가 무엇인가?
->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 이동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 문제가 무엇인가?
-> 문제가 무엇인가?
-> 왜 시간 초과가 발생하는가?
->
2. 계획
- 전에 비슷한 문제를 알고 있는가?
- 이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지식은 무엇인가?
- 비슷한 문제를 풀어본 적이 있다면 그 것을 활용할 수 있는가?
- 만약 문제를 풀 수 없다면 문제를 더 단순하게 하기 위해서 주어진 조건을 버려보아라
- 주어진 자료로부터 유용한 것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
- 자료는 모두 사용했는가?
- 조건을 모두 사용했는가?
- 문제에 포함된 핵심적인 개념은 모두 고려했는가?
3. 실행
- 풀이 계획을 실행하고, 각 단계가 올바른지 점검하라.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int R;
public static int C;
public static char[][] map;
public static boolean[][] visited;
public static int[] arr;
public static int maxResult;
public static int[] dx = {-1, 1, 0, 0};
public static int[] dy = {0, 0, -1, 1};
public boolean isInside(int x, int y){
if( 1<=x && x<=R && 1<=y && y<=C){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
}
public void DFS(int x, int y, int cnt){
maxResult = Math.max(maxResult, cnt);
for(int i=0; i<4; i++){
int nx = x + dx[i];
int ny = y + dy[i];
if(!isInside(nx, ny)){
continue;
}
char c = map[nx][ny];
if(arr[c-'A'] == 0){
arr[c-'A'] = 1;
DFS(nx, ny, cnt+1);
arr[c-'A'] = 0;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R = sc.nextInt();
C = sc.nextInt();
map = new char[R+10][C+10];
maxResult = 1;
arr = new int[30];
visited = new boolean[R+10][C+10];
for(int i=1; i<=R; i++){
String str = sc.next();
for(int j=1; j<=C; j++){
map[i][j] = str.charAt(j-1);
}
}
char c = map[1][1];
arr[c-'A'] += 1;
visited[1][1] = true;
T.DFS(1, 1, 1);
System.out.println(maxResult);
}
}
4. 반성
-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가?
- 결과나 방법을 어떤 다른 문제에 활용할 수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 visited와 ArrayList, HashSet을 사용하지 않고도 문제를 풀 수 있다.
-> DFS의 시간 복잡도에 대해서 잘 이해해야 한다.
'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패율 [프로그래머스] (0) | 2023.06.03 |
---|---|
오픈채팅방 [프로그래머스] (0) | 2023.06.03 |
테트로미노 [BOJ 14500] (0) | 2022.10.08 |
트리의 부모 찾기 [BOJ 11725] (0) | 2022.10.06 |
한국이 그리울 땐 서버에 접속하지 [BOJ 9996] (0) | 2022.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