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POST 전송을 누르면 웹 브라우저가 무슨 일을 하는가?
-
Q2. 서블릿은 무슨 일을 하는가?
-> 개발자를 대신해서 HTTP 스펙과 관련된 기능을 지원한다.
Q3. 서블릿은 무엇을 통해 지원되는가?
- WAS를 통해서 지원된다.
Q4. urlPatterns의 URL이 호출되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가?
- 서블릿 클래스의 메서드가 실행된다.
Q5. 클래스를 만들고 무엇을 상속 받아야 하는가?
->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 받아야 한다.
Q6. HttpServletRequest의 역할은 무엇인가?
-> HTTP 요청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Q7. HttpServletResponse의 역할은 무엇인가?
-> HTTP 응답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Q8. 개발자는 무엇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
- HTTP 스펙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Q9. 기본적인 HTTP 스펙은 개발자가 어떠해야 하는가?
- 기본적인 HTTP 스펙은 개발자가 숙지해야 한다.
Q10. URL로 접속하면 WAS는 무슨 일을 하는가?
- WAS는 Request, 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한다.
Q11. 서블릿 객체는 무엇으로 관리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 서블릿 컨테이너에 의해 싱글턴으로 관리된다.
각 요청마다 서블릿 객체를 생성해야 한다면
메모리 낭비가 크기 때문이다.
Q12. 서블릿 객체는 무엇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하는가?
- 공유 변수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서블릿 객체는 싱글턴 패턴으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Q13. 서블릿 컨테이너 종료시 무엇도 같이 종료되어야 하는가?
- 서블릿 객체도 같이 소멸되어야 한다.
Q14. 서블릿 컨테이너는 동시 요청을 위한 무엇을 지원하는가?
- 서블릿 컨테이너는 멀티 스레드를 지원한다.
Q15. 무엇이 서블릿으로 변환되어서 사용 가능한가?
-
Q16. WAS 안에는 무엇이 존재하는가?
그것의 역할은 무엇인가?
- 서블릿 컨테이너가 존재한다.
서블릿 컨테이너는 서블릿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한다.
Q17. 개발자는 어떤 객체에서 HTTP 요청 정보를 편리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는가?
- HttpServletRequest 객체에서 편리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Q18. 개발자는 어떤 객체에서 HTTP 응답 정보를 편리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는가?
- HttpServletResponse 객체에서 편리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Q19. WAS는 무엇에 담겨 있는 정보로 HTTP 응답 객체를 만드는가?
-
Q20. 서블릿 컨테이너는 서블릿 객체의 무엇을 관리하는가?
- 서블릿 객체의 생명 주기를 관리한다.
참고
Q1~Q20 스프링 MVC 1편 6/25
'Spring MV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SR (0) | 2022.06.26 |
|---|---|
| 동시 요청 - 멀티 스레드 (0) | 2022.06.25 |
|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0) | 2022.06.25 |
| Filter (0) | 2022.06.24 |
| DispatcherServlet (0) | 2022.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