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 MVC

동시 요청 - 멀티 스레드

 

Q1. 왜 동시 요청 - 멀티 스레드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가?

- 자바-스프링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된 서버에서 동시 요청이 발생했을 때,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Q2. 누가 서블릿 객체를 호출하는가?

 

 

Q3. 쓰레드란 무엇인가?

- 코드가 메모리에 적재되어서 실행되는 실행 단위를 의미한다. 

 

 

Q4. 자바의 main 메서드를 실행하면 무슨 이름의 스레드가 생성되는가?

- main이라는 이름의 스레드가 생성된다. 

 

 

Q5. 스레드가 없으면 무엇의 수행이 불가능한가?

- 코드의 수행이 불가능하다. 

 

 

Q6. 스레드는 한 번에 얼만큼의 코드라인을 수행하는가?

 

 

Q7. 동시 처리가 필요하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Q8. 무엇을 할당해야 서블릿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가?

       그 할당은 언제 발생하는가?

-  

 

 

Q9. 다중 요청시 스레드를 하나만 사용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  

 

 

Q10. 요청이 끝나면 스레드를 어떻게 해주는가?

 

 

Q11. 요청마다 쓰레드를 생성하는 것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Q12. WAS는 내부에 무엇을 갖고 있는가?

 

 

Q13. 스레드를 다 쓰면 스레드를 어떻게 하는가?

 

 

Q14. 스레드 풀에 스레드가 없는데 요청이 들어오면 어떻게 하는가?

 

 

Q15. 스레드 풀의 2가지 특징은 무엇인가?

-

 

 

Q16. 톰캣의 스레드 풀은 최대 몇 개로 설정 가능한가?

-  

 

 

Q17. 스레드 풀의 장점은 무엇인가?

 

 

Q18. WAS의 주요 튜닝 포인트는 무엇인가?

 

 

Q18-1 WAS의 최대 스레드 수를 너무 낮게 설정하면,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

 

 

Q18-2 WAS의 최대 스레드 수를 너무 높게 설정하면,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Q19. 장애 발생 시, 쓰레드 풀과 관련해서 어떤 작업을 할 수 있는가?

 

 

Q20. 스레드 풀의 적정 숫자는 어떻게 찾는가?

 

 

Q21. 결국 무슨 테스트를 해봐야 하는가?

 

 

Q22. WAS가 무엇을 해준다는 것이 핵심인가? 

 

 

Q23. 멀티 스레드 환경이므로 무엇을 주의해서 사용해야 하는가?

 

 

Q24. WAS가 왜 개발 생산성을 높여주는가?

 

 

참고

Q1~Q24 스프링 MVC 1편 6/25

'Spring MV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백엔드 웹 기술 역사  (0) 2022.06.26
CSR  (0) 2022.06.26
서블릿  (0) 2022.06.25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0) 2022.06.25
Filter  (0) 2022.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