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에 대한 이해
- 우리가 풀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 주어진 자료는 무엇인가?
- 조건은 무엇인가?
- 우리가 문제를 풀기 위해 주어진 자료가 충분한가?
- 숨겨진 조건이나 자료가 있는가? 그렇다면 그 것을 다른 방법으로 해석해보라.
- 우리가 풀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 setQuiz 메소드를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
-> setQuiz 메소드란 무엇인가?
-> 새로운 퀴즈를 생성해주는 서비스이다.
-> 이렇게 작성하는 것이 맞는가?
-> 퀴즈를 인터페이스로 만들고, 클래스로 구현해줘야 하지 않는가?
-> 나머지는 퀴즈 컨트롤러, 퀴즈 서비스 등이 되어야 하지 않는가?
-> 퀴즈 인터페이스는 어디에 작성해야 하는가?
-> domain에 작성해야 하는가?
->
- 퀴즈 인터페이스에는 무엇이 있어야 하는가?
-> int[] problems가 맞는가?
->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가?
-> 인터페이스에 배열을 어떻게 선언할 것인가?
-> ArrayList를 선언한다
-> ArrayList<Problem> lists;
-> 문제 리스트라고 쓰려면 어떻게 하는가?
-> problemLists;
-> 여기다 쓰면 안된다
-> 여기는 메소드만 써야 한다.
-> 메소드가 아닌 것을 쓰려면 어떻게 하는가?
-> setProblems
-> 메소드 명이 적절한가?
- 도메인이란 무엇인가?
-> 도메인에 무엇이 포함되어야 하는가?
->
- 퀴즈 인터페이스가 왜 필요한가?
->
- Model과 DTO를 왜 구분해야 하는가?
-> 무엇으로 적는 것이 바람직한가?
-> 왜 DTO를 쓰는가?
-> DTO도 테스트해야 하는가?
-> 왜 DTO와 DAO를 따로 구현하는가?
->
- 인터페이스 내에서 어떻게 선언하는가?
-> 인터페이스와 구현 클래스를 어떻게 분리하는가?
->
- 왜 Repository 가 domain인가?
-> domain은 어떤 의미인가?
->
- 지금 setQuiz 메소드를 작성해야 할 순서인가?
-> 테스트가 통과된다는 것이 무엇인가?
->
- 구조를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
-> 퀴즈와 Problem이 왜 따로 필요한가?
->
- 공통으로 가져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
-> 공통으로 가진다는 것이 무엇인가?
-> 퀴즈는 어차피 같은 것이 아닌가?
-> 퀴즈가 변할 수 있는가?
-> 인터페이스가 있고 클래스가 변할 수 있는가?
->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도록 해야 한다
-> 어떻게 의존하도록 하는가?
->
- 인터페이스가 있고, 각각의 할인 정책에 대한 구체 클래스를 선언했다
-> 구체 클래스에는 각각의 정보가 달랐다
-> 그렇다면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구체 클래스를 나눠줘야 한다
-> 왜냐하면 인터페이스에 의존해야 하고, 구체 클래스에 의존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 구조를 어떻게 설계했는가?
-> 즉, 인터페이스와 구체 클래스를 어떻게 선언했는가?
->
- 하나로 묶어서 나타낼 수 있다
-> 이것이 최선인가?
-> 어떤 메소드가 존재할 수 있는가?
->
- setQuiz를 한다는 것이 무엇인가?
->
- 컨트롤러에서 요청이 들어온다
-> 컨트롤러에서 요청이 들어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
- Repository란 무엇인가?
-> QuizRepository는 어떻게 선언되어야 하는가?
-> Quiz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상속해야 하는가?
- 어떻게 TDD 방식으로 하는가?
-> TDD 방식으로 어떻게 코드를 작성하는가?
-> 이 다음에 해야 하는 작업이 무엇인가?
-> 왜 굳이 과목마다 나눠야 하는가?
->
- 어떤 데이터를 반환해야 하는가?
->
- Repository에 대한 테스트는 어떻게 작성하는가?
->
- new Task()란 무엇인가?
-> new Quiz
-> Quiz는 어디서 만드는가?
- list()는 무엇을 반환하는가?
->
- init()이라는 메소드명이 적절한가?
->
- Service에 대한 테스트는 어떻게 작성하는가?
->
- 지금 전체적인 flow가 어떻게 되는가?
->
DTO/Entity 계층이란 무엇인가?
->
- MemoryQuizRepository에 대한 테스트는 어떻게 작성하는가?
->
- 이것이 무엇인가?
->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
- TaskRepositoryTest는 없는가?
->
- 어떤 어노테이션을 추가해야 하는가?
-> 왜 추가해야 하는가?
->
- Exception이 왜 필요한가?
-> Exception이 필요한지 고민해보자
- @DisplayName은 적절한가?
-> 내가 작성한 메소드들은 적절한가?
- 컨트롤러는 적절한가?
-> 컨트롤러는 무엇을 포함해야 하는가?
->
- 문제가 무엇인가?
-> 동기화가 안된다
-> 왜 동기화가 안되는가?
-> 동기화가 안된다는 것이 무엇인가?
-> 이 두 개를 어떻게 합칠 수 있는가?
-> 이 두 개를 합치는 것이 관심사임
- unmerged conflict, unmerged file이 있다는 것이 무엇인가?
->
- rebase를 해야 한다
-> rebase를 한다는 것이 무엇인가?
-> rebase를 어떻게 하는가?
-> merge가 필요하다는 것이 무엇인가?
-> 커밋을 먼저 해야한다는 의미이다.
-> 어떻게 커밋을 하는가?
->
2. 계획
- 전에 비슷한 문제를 알고 있는가?
- 이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지식은 무엇인가?
- 비슷한 문제를 풀어본 적이 있다면 그 것을 활용할 수 있는가?
- 만약 문제를 풀 수 없다면 문제를 더 단순하게 하기 위해서 주어진 조건을 버려보아라
- 주어진 자료로부터 유용한 것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
- 자료는 모두 사용했는가?
- 조건을 모두 사용했는가?
- 문제에 포함된 핵심적인 개념은 모두 고려했는가?
3. 실행
- 풀이 계획을 실행하고, 각 단계가 올바른지 점검하라.
4. 반성
-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가?
- 결과나 방법을 어떤 다른 문제에 활용할 수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트러블슈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트러블 슈팅 (0) | 2022.07.10 |
---|---|
Thymeleaf 적용 (0) | 2022.06.30 |
Could not autowire. No beans of 'MockMvc' type found. (0) | 2022.06.27 |
Status expected:<201> but was:<400> (0) | 2022.06.18 |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entityManagerFactory'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