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효과가 검증된 학습법

- 학습은 후천적으로 얻는 기술이며, 가장 효율적인 학습 전략은 우리의 직관과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인지심리학자들은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기보다는

  높은 효과를 낼 수 있는 학습 전략을 발견하고 증거들을 찾는데 40년 이상 매진해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지심리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진 '효과가 검증된 학습법들'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1) 효과가 검증된 학습법들

 

(1) 노력을 많이 들여(efforful) 배우기

- 같은 지식도 '노력을 더 많이 들여'서 배울수록 더 깊이 남고 오래 갑니다. 

  예를 들어, 어떤 책의 내용을 단순히 읽는 것이 아니라,

  글로 작성해본다던지, 아니면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본다던지 하는 방식으로 학습하면

  기억이 더 깊이 남고 오래 갑니다. 

 

(2) 인출 연습(retireval practice)

- 기억 속에서 사실이나 개념, 사건을 떠올리는 인출 연습은 효율적인 학습 전략입니다.  

  인출 혹은 회상은 기억을 강화하고 망각을 막아줍니다.

  예를 들어, 교재를 읽거나 강의를 들은 후 아주 간단한 시험 한 번만 보아도

  단순히 교재를 반복해서 읽을 때 보다 더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기억할 수 있습니다. 

 

(3) 시간 간격을 두고 복습하기(space out practice)

- 시간 간격을 두고 복습하기는 학습할 때 망각이 일어날만한 시간 간격을 두거나, 

   두 가지 이상의 주제를 번갈아 배우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학습한 내용을 기억해내는데는 힘이 들지만,

   이러한 노력을 들이면 배운 내용이 오래 남고, 나중에 해당 지식을 잘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해법을 배우기 전(before being taught the solution)

- 해법을 배우기 전에 문제를 풀기 위해 애쓰면 그 과정에서 조금 실수를 하더라도

  해당 지식을 더 잘 배울 수 있습니다. 

 

(5) 근본 원칙(underlying principles)이나 규칙(rules) 이끌어내기

- 다양한 문제 유형에서 근본 원칙이나 규칙을 이끌어내는데 능숙하다면 

  낯선 상황에서 올바른 해결책을 발견해내는데 성공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 기술은 교차 연습(interleaved practice)이나 다양하게 변화를 준 연습(varied practice)

  을 통해 더 잘 익힐 수 있습니다.

 

(6) 사전 지식이라는 기초(foundation for prior knowledge)

- 무언가를 새로 배울 때는 항상 사전 지식이라는 기초가 있어야 합니다.

  삼각법을 배우려면 대수학과 기하학을 기억해내야 합니다.

  수납장 만드는 법을 배우려면 나무와 합성재료의 특성, 판자를 조립하는 법, 홈을 파는 법 등을 완전히 익혀야 합니다. 

 

(7) 정교화(elaboration)

- 정교화란 생소한 내용을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하여, 기존의 지식과 연결하는 과정입니다.

  새로 배운 내용을 사전 지식과 연결할수록 머리에 확실하게 남길 수 있을 뿐더러,

  연관성을 많이 만들어냄으로써 배운 지식을 나중에 쉽게 떠올릴 수 있습니다. 

 

(8) 더 넓은 맥락(larget context)

- 새로운 지식을 더 넓은 맥락에서 살펴보는 것도 학습에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면, 역사를 배울 때 이야기의 흐름을 알면 더 많은 지식을 배울 수 있습니다. 

 

(9) 심성 모형(mental model)

- 새로운 자료에서 핵심 내용을 뽑아내 심성 모형으로 만드는 법을 배우고,

   그 모형을 사전 지식과 연결하는 사람은 복잡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데 뛰어납니다. 

 

 

2) 효과적이지 않은 학습 전략

- 이번에는 반대로 효과적이지 않은 학습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반복해서 읽기(rereading text)

- 반복 읽기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1순위로 선택하는 공부 전략입니다. 

  하지만, 반복 읽기에는 세 가지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1) 반복 읽기는 시간이 많이 걸리며

  (2) 배운 내용이 기억에 오래 남지 않으며

  (3) '알게 되었다'는 착각을 준다는 점입니다. 

  학습에 소요된 시간이 숙달의 정도와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1-1) 반복 읽기를 선호하는 이유

- 반복 읽기가 대체로 효과적이지 못한데도 학생들이 그 전략을 선호하는 이유는

  교재를 읽으면서 그 내용에 익숙해지면 그것을 완전히 소화했다는 착각에 빠지기 때문입니다. 

  완벽하게 배웠다는 착각은 상위 인지(meta-cognition), 즉 자신이 무엇을 아는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은 의사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교훈(lesson)

- 학습에 단순히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을 넘어서,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학습하고 적용하는 노력을 

  같이 병행해야겠다. 또한 주기적인 인출(retrieval)을 통해 내가 학습한 내용을 잘 소화했는지 확인하고,

  나의 지식에 대한 메타인지(meta-cognition)를 향상시켜야겠다 

 

- 반복해서 읽기(rereading text)와 같은 쉬운 학습 전략은 지양하고,

  글쓰기나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기와 같은 보다 어려운 학습 전략을 습관화하고 실천하면서

  학습과 내가 학습하는 시간의 질을 향상시켜야겠다. 

 

 

 

 

  

 

 

'아티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이해하기  (0) 2022.09.04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  (0) 2022.09.01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소개  (0) 2022.08.17
의도적 수련  (0) 2022.08.12
데드락  (0) 2022.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