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법

학습법

 

Q1. 학습이 유익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

 

 

Q2. 우리는 살아가면서 인생의 모든 것들을 계속해서 

       '무엇'하고 '무엇'해야 하는가?

 

 

Q3. 직장에서 성공하려면 '무엇'에 통달하고, '무엇'을 능숙하게 다루어야 하는가?

 

 

Q4. 학습은 선천적으로 얻는 기술인가, 후천적으로 얻는 기술인가?

- 후천적으로 얻는 기술이다. 

 

 

Q5. '어떻게' 배운 지식일수록 더 깊이 남고 오래 가는가?

- '노력을 들여서 어렵게' 배운 지식을 더 깊이 남고 오래 간다.  

 

 

Q6. '무엇'과 '무엇'은 가장 생산성이 떨어지는 전략인가?

- '반복 읽기', '집중적 읽기'는 가장 생산성이 떨어지는 전략이다. 

 

 

Q7. 기억 속에서 사실이나 개념, 사건을 떠올리는 '무엇'은

       반복해서 읽는 복습보다 더 효율적인 학습 전략인가?

 

 

Q8. 교재를 읽거나 강의를 들은 후 '무엇'만 보아도 교재를 반복해서

       읽거나 필기한 내용을 복습할 때보다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기억할 수 있는가?

-

 

 

Q9. '무엇'은 학습할 때 망각이 일어날만한 시간 간격을 두거나,

       두 가지 이상의 주제를 번갈아 배우는 방법인가?

- 교차 학습 

 

 

Q10. '무엇'에 문제를 풀기 위해 애쓰면 그 과정에서 실수를 좀 하더라도 

         결국 그 지식을 더욱 잘 배울 수 있는가?

 

 

Q11. 다양한 문제 유형에서 '무엇'이나 '무엇'을 이끌어내는데 능숙하다면

         낯선 상황에서 올바른 해결책을 발견하는 데 성공할 확률이 높은가?

 

 

Q12. Q11의 기술은 한 번에 몰아서 하는 집중적인 연습보다

         '무엇'이나 '무엇'을 통해 더 잘 익힐 수 있는가?

 

 

Q13. 우리는 '무엇'과 '무엇'에 대해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착각에 빠지기 쉬운가?

 

 

Q14. 무언가를 새로 배울 때는 항상 '무엇'이 있어야 하는가?

 

 

Q15. '무엇'을 연습한다면 배울 수 있는 분량에는 사실상 제한이 없는가?

 

 

Q16. 새로운 지식을 '무엇'에서 살펴보는 것도 학습에 도움이 되는가?

 

 

Q17. 새로운 자료에서 핵심 내용을 뽑아내 '무엇'을 만드는 법을 배우고,

         그 모형을 사전 지식과 연결하는 사람은 복잡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데 

         뛰어난가?

 

 

 

Q18. 새로운 지식을 배울 때마다 '무엇'에서는 변화가 일어나는가?

 

 

Q19. 우리는 유전자에서 비롯하는 능력을 미리 갖추고 태어나기는 하지만,

         '무엇', '무엇', '무엇'을 가능케 하는 '무엇'을 배우고 구축하면서 

         능력을 계발하기도 하는가?

 

 

Q20. 지적 능력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 놀라울 정도로 많은 부분이

         '무엇'에 달려 있는가?

 

 

Q21. Q20과 같은 사실을 이해하면 실패를 '무엇'또는 '무엇' 또는 '무엇'을 써봐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유용한 정보의 원천으로 볼 수 있는가?

 

 

Q22. 현재의 수준을 넘어 진정한 전문가의 수준으로 올라가고자 한다면 

         액션 비디오 게임을 하거나 새 BMX 자전거를 탈 때처럼 

         '무엇'과 '무엇'의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가?

 

 

Q23. '무엇'을 하고 바로잡는 과정은 '무엇'을 위한 디딤돌이 되는가?

 

 

참고

Q1~Q23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6/20 

 

 

'학습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 테스트를 위한 준비  (0) 2022.10.06
야생학습  (0) 2022.05.28
학습 반복의 주기  (0) 2022.05.22
아웃풋 중심의 학습법과 주제 중심의 학습법  (0) 2022.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