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법

학습 반복의 주기

 

지난 글에 '아웃풋 중심의 학습법과 주제 중심의 학습법'에 대해서 다뤘다.

아웃풋 중심의 학습법과 주제 중심의 학습법 (tistory.com) 

 

아웃풋 중심의 학습법과 주제 중심의 학습법

윤석님을 통해 아웃풋 중심의 학습법을 배우고 나서, 학습 효율과 효과에 있어서 많은 부분이 향상되었음을 느끼고 있다. 코드숨 | 스터디에 아웃풋 중심의 학습법을 적용하기 (codesoom.com) https://

bryandev.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추가적으로 '학습 반복의 주기'라는 주제에 대해서 다뤄보겠다.

 

1) 학습 반복의 주기란?

- 학습 반복의 주기란 말 그대로 학습을 반복하는 주기를 의미한다. 용어 자체는 단순하므로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왜 굳이 '반복의 주기'라는 용어를 선택했는가이다. 

 

- 망각곡선 그래프라는 것은 누구나 한 번쯤은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 그래프의 의미는 인간이 학습을 통해 어떤 지식을 습득하면 

  그 지식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망각이 됨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 위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학습을 한지 하루가 지나면 학습한 내용의 35%를,

  1주일이 지나면 30%를, 1달이 지나면 25% 정도가 기억에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정확한 수치는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기억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소멸된다는 점이다. 

 

- 그렇다면 지식을 내 것, 즉 장기기억으로 전환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것이 '복습'이다.  

  그런데 여기서 생각해볼 점이 한 가지 있는데,

  바로 '기억을 복원하기 위해 내가 투입해야 하는 시간'이다. 

 

- 예를 들어, 내가 오늘 10시간을 투자해 어떤 지식을 습득했다고 하자. 

  그렇다면 하루가 지나면 35%의 지식이 남아 있으므로, 

  다시 6시간 반을 투자해서 지식을 복원해야 한다. 

  그런데 만약, 1주일이 지났다면 7시간을 투자해야 하며, 1달이 지났다면 7시간 반을 투자해야 한다. 

  즉, 시간이 흐를수록 같은 수준의 지식에 도달하기 위해 투입해야 하는 시간이 늘어남을 의미한다. 

 

- 이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학습 반복의 주기를 가능한 한 짧게'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학습 반복의 주기가 짧을수록, 나는 더 적은 시간으로 지식을 복원할 수 있고,

  나의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학습 반복의 주기를 방해하는 것 

- 그렇다면 학습 반복의 주기를 방해하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첫째는, '지나치게 넓은 범위의, 다양한 주제의 학습을 한 번에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자신이 다양한 주제를 '열심히'하면서 

  '나는 열심히 하고 있어!'라는 식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학습 효율을 떨어뜨리는 접근 방식이다. 

 

- 예를 들어, 내가 A, B, C라는 3개의 주제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있고, 학습을 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이 경우 

  1)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A     A     A    B     B    B     C     C    C  

  2)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A     B     C    A     B    C     A     B    C  

  

  두 가지 방식 중 어떤 방식이 더 효율적일까?   

  위의 내용을 이해했다면 1)번 방식이 더 효율적인 방식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 이 내용은 더 긴 시간 주기에도 대입해서 설명 가능하다. 

   ex)   

   1)  1년         2년            3년

       자바       자바           자바 

   2)  1년         2년           3년

       자바 자바스크립트   Devops

  

  다룰 수 있는 기술의 범위는 2)가 더 넓더라도,

  같은 시간을 투입했다고 가정했을 때, 1)이 획득한 지식의 질과 양이 더 많을 것이다.  

  

- 둘째는, '언제 학습을 했는지 기록하지 않는 것'이다.

  즉, 내가 우선순위를 두고 반복해서 학습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해당 내용을 '언제' 학습했는지 알아야 한다. 

  따라서 그것을 기록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 나 같은 경우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tistory.com)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Q1. 클래스란 무엇인가? -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작성한 코드, 객체를 생성하는 틀을 의미합니다. Q2. 클래스 내부에 선언한 변수는 무엇인가? - 멤버 변수라고 합니다. Q3. 클래스 내부에 선언하는

bryandev.tistory.com

  이와 같이 '아웃풋 중심의 학습법'을 적용하면서, 

  마지막에 내가 학습을 한 날짜와, 학습한 내용에 대해 답을 한 날짜를 기록해두었다. 

  이렇게 기록을 해둠으로써, 내가 언제 이 내용을 학습했는지 확인하고,

  최대한 짧은 주기내에 복습을 하거나 답을 작성하려고 하고 있다. 

 

 

3) 결론

 

- 결론은 '기억은 망각된다'는 특성을 고려해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학습 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지나치게 넓은 범위의 지식을 습득하려고 하기보다는,  

   한 주제의 지식을 제대로 습득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한 주제를 제대로 습득하기 위해 내가 투자해야 하는 시간을 과소평가하지 않아야 한다. 

 

 

'학습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 테스트를 위한 준비  (0) 2022.10.06
학습법  (0) 2022.06.20
야생학습  (0) 2022.05.28
아웃풋 중심의 학습법과 주제 중심의 학습법  (0) 2022.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