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에 대한 이해
- 우리가 풀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 주어진 자료는 무엇인가?
- 조건은 무엇인가?
- 우리가 문제를 풀기 위해 주어진 자료가 충분한가?
- 숨겨진 조건이나 자료가 있는가? 그렇다면 그 것을 다른 방법으로 해석해보라.
- 왜 시간 초과가 발생하는가?
->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2. 계획
- 전에 비슷한 문제를 알고 있는가?
- 이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지식은 무엇인가?
- 비슷한 문제를 풀어본 적이 있다면 그 것을 활용할 수 있는가?
- 만약 문제를 풀 수 없다면 문제를 더 단순하게 하기 위해서 주어진 조건을 버려보아라
- 주어진 자료로부터 유용한 것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
- 자료는 모두 사용했는가?
- 조건을 모두 사용했는가?
- 문제에 포함된 핵심적인 개념은 모두 고려했는가?
3. 실행
- 풀이 계획을 실행하고, 각 단계가 올바른지 점검하라.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Deque<Integer> side1;
public static Deque<Integer> side2;
public static Deque<Deque<Integer>> inside;
public int[][] solution(int[][] rc, String[] operations) {
int row = rc.length;
int col = rc[0].length;
int[][] answer = new int[row][col];
side1 = new LinkedList<>();
side2 = new LinkedList<>();
inside = new LinkedList<>();
for(int i=0; i<row; i++){
inside.addLast(new LinkedList<>());
for(int j=0; j<col; j++){
if(j == 0){
side1.add(rc[i][j]);
}else if(j == col-1){
side2.add(rc[i][j]);
}else{
inside.peekLast().addLast(rc[i][j]);
}
}
}
for(String operation: operations){
if(operation.equals("Rotate")){
rotate();
}else{
shiftRow();
}
}
for(int i=0; i<row; i++){
int j = 0;
answer[i][j++] = side1.pollFirst();
for(int num: inside.pollFirst()){
answer[i][j++] = num;
}
answer[i][j] = side2.pollFirst();
}
return answer;
}
public void rotate(){
inside.peekFirst().addFirst(side1.removeFirst());
side2.addFirst(inside.peekFirst().removeLast());
inside.peekLast().addLast(side2.removeLast());
side1.addLast(inside.peekLast().removeFirst());
}
public void shiftRow(){
side1.addFirst(side1.removeLast());
inside.addFirst(inside.removeLast());
side2.addFirst(side2.removeLast());
}
}
4. 반성
-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가?
- 결과나 방법을 어떤 다른 문제에 활용할 수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 효율성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 그것을 고려해서 애초에 이중 for문으로 짤지, 그냥 for문으로 짤지 결정해야 한다
->
- 덱과 이중덱을 통해서 문제를 풀 수 있다
-> 이렇게 하는 경우 rotate와 shift를 모두 O(1)에 할 수 있다.
-> String 비교는 반드시 equals로 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 이 점을 잘 기억해야 한다.
- pollFirst, pollLast, peekFirst, peekLast와 같은 메소드에 대해 잘 알아둬야 한다.
'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양궁 대회 [프로그래머스] (0) | 2022.09.22 |
|---|---|
| 뮤탈리스크 [BOJ 12869] (0) | 2022.09.21 |
| 코딩 테스트 공부 [프로그래머스] (1) | 2022.09.20 |
| 동전교환(냅색 알고리즘) [자바 알고리즘 문제 풀이] (0) | 2022.09.18 |
| 최대 부분 증가 수열 [자바 알고리즘 문제 풀이] (0) | 2022.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