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84) 썸네일형 리스트형 [서비스 운영이 쉬워지는 AWS 인프라 구축 가이드] 다중 서버 환경 구성 1) AWS Auto Scaling 그룹을 이용한 다중 서버 구성- AWS Auto Scaling 그룹은 AWS에서 제공하는 자동 다중 서버 서비스다. Auto Scaling 그룹은 같은 사양, 같은 환경, 같은 코드를 가지고 있는 똑같은 EC2 인스턴스들의 묶음이다. 똑같은 인스턴스들이 여러 대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같은 AMI를 이용해서 만들어진 인스턴스들이기 때문이다. - 그리고 Auto Scaling 그룹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서비스는 인스턴스들의 수를 자동으로 늘리고 줄여준다. 예를 들어, 서비스에 사용자가 많이 몰리는 경우 서버의 수를 늘리고 사용자가 별로 없는 경우에는 서버의 수를 자동으로 줄인다. - 최대 사용자에 대비해서 모든 서버를 24시간 가동해두는 기존 방식과 ..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 타입스크립트 알아보기 - 1장에서는 타입스크립트의 큰 그림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내용을 다룹니다.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타입스크립트란 무엇이고, 타입스크립트를 어떻게 여겨야 하는지, 자바스크립트와는 어떤 관계인지, 타입스크립트의 타입들은 null이 가능한지, any 타입에서는 어떨지, 덕 타이핑(duck typing)이 가능한지 등을 알아봅니다. - 타입스크립트는 사용 방식 면에서 조금은 독특한 언어입니다. 인터프리터(파이썬이나 루비 같은)로 실행되는 것도 아니고, 저수준 언어로 컴파일(자바나 C 같은)되는 것도 아닙니다. - 또 다른 고수준 언어인 자바스크립트로 컴파일되며, 실행 역시 타입스크립트가 아닌 자바스크립트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타입스크립트와 자바스크립트의 관계는 필연적이며, 이 밀접한 관계 때문.. [서비스 운영이 쉬워지는 AWS 인프라 구축 가이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활용 - 지금까지 운영 서버 관리의 세 단계 중 '환경 구성', '코드 배포'에 대해 배웠다. 이번 장과 다음 장에서는 서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배우겠다. AWS에서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비스인 CloudWatch를 이용해 AWS 내 자원과 AWS 외 임의의 지표들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배워보고 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 툴에 대해서도 알아보겠다. 1) 모니터링의 목적과 영역- 서버 모니터링은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이라는 목적이 있다. 서버 장애가 발생하고 해결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면 고객들은 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잃고 떠날 테고 장애 시간 동안 서비스가 동작하지 않는 것만으로도 금전적으로 큰 피해를 볼 수 있다. - 따라서 큰 장애.. 이전 1 2 3 4 5 6 7 8 ··· 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