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84)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내적 성품과 커뮤니케이션 - 당신은 지금 내가 쓴 책을 읽고 있다. 읽고 쓰는 것은 둘 다 커뮤니케이션의 형태이다. 마찬가지로 말하는 것과 듣는 것 역시 커뮤니케이션의 다른 형태이다. - 사실 이것들은 커뮤니케이션의 네 가지 기본 유형에 속한다. 우리는 네 가지 중 적어도 한 가지를 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 네 가지를 잘할 수 있는 능력은 효과성을 높이는 데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 커뮤니케이션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우리는 깨어 있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보낸다. 그러나 이 점을 생각해 보자. 당신은 읽고 쓰는 방법을 배우는데 수년을 보냈고, 말하는 법을 배우는 데도 여러 해를 보냈다. 그러나 듣기에 대해서는 어떤가? 당신은 상대방을 진정으로 이해하기 위해 경..
[마인드셋] 위대한 조직의 특징 - 짐 콜린스는 '좋은 기업'에서 '위대한 기업'으로 성장하게끔 만드는게 무엇인지 찾으려 했습니다. 그저 좋은 기업으로 남는 기업들과 달리, 위대한 기업으로 성장하고 그 자리를 유지하게 만드는 요인은 무엇일까? -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짐 콜린스와 그의 연구팀은 5년간의 연구에 돌입했습니다. 동일 업종의 다른 기업들에 비교해 주식 배당이 급증했으며, 그 상태를 적어도 15년 이상 유지한 11개의 기업을 골랐지요. 그리고 이들 기업들을 동일 업종 내에서 조건은 비슷하지만, 크게 성장하지는 못한 또 다른 기업들을 선정해 비교집단으로 삼았습니다. - 또 마지막으로 좋은 기업에서 위대한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그 위대함을 유지하는데는 실패한 기업들도 연구했습니다. - 과연 계속 번..
[마인드셋] 존경받는 리더들의 마인드셋 -2001년 미국 재계를 뒤흔든 사건이 있었지요. 바로 미래의 기업으로 일컬어지던 엔론의 도산이었습니다. 대체 무슨 일이 벌어졌던 걸까요? 그렇게 촉망받던 기업에 어떻게 그런 재앙이 닥쳤던 걸까요? 무능이 문제였던걸까요? 아니면 부패 때문에? - 그건 마인드셋의 문제였습니다. 에 기고한 말콤 글래드웰의 글에 따르면, 미국 기업들은 재능에 너무 집착하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미국 제일의 경영 컨설팅 기업인 맥킨지&컴퍼니의 경영 구루들은 현재 기업이 성공하려면 '재능 마인드셋'이 꼭 필요하다고 주장할 정도였으니까요. - 그들은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기업에도 선천적 재능이 중요하다고 주장했지요. 뛰어난 재능을 가진 선수를 스포츠 구단들이 거대한 자금을 들여 영입하듯이, 기업도 훌륭한 인재들을 영..